본문 바로가기 글로벌 네비게이션 바로가기

대법원소개

대법원은 법원조직법에 따른 대한민국 법원 중에서 최고 법원을 일컫는다.

  • 인사말

    인사말

    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공무원은 국민에 대한 봉사자입니다.

  • 역사

    1948. 5. 4. (과도)법원조직법
    1949. 9. 26. 제정 법원조직법
    1959. 1. 13. 개정

  • 기능

    최고법원으로서의 최종 심판권
    전속관할권
    헌법재판권

  • 구성

    대법원장과 대법관

    재판연구관

재판안내

모든 국민은 헌법과 법률이 정한 법관에 의하여 법률에 의한 재판을 받을 권리를 가진다.

옳고 그름을 따져 판단함. 구체적인 소송 사건을 해결하기 위하여 법원 또는 법관이 공권적 판단을 내리는 일. 또는 그 판단. 소송의 목적이 되는 사실의 성질에 따라 민사 재판, 형사 재판, 행정 재판의 세 가지가 있으며, 그 형식에 따라 판결, 결정, 명령 따위가 있다.

  • 주요재판
    선고: 소송의 결과인 판결을 알리는 행위
    변론: 공개법정에서 쌍방이 구술에 의해 판결의 기초가 될 소송자료를 제출하는 방법으로 소송을 심리하는 절차
    진행: 현재 소송 및 심리중에 있는 단계 더보기
  • 절차
    *고등법원급에 속하는 특허법원은 특허심판원의 심결 또는 결정에 대한 특허소송을 관할하는데, 특허소송은 ‘특허법원 → 대법원’ 으로 이어지는 2심제로 운영되고 있음 더보기
  • 판결
    대법원 판례는 대법원종합법률정보사이트에서 직접 찾아볼 수 있다. 본 문서에서는 판례번호와 간략한 설명만을 기재하고, 자세한 것은 해당 사이트에서 사건번호를 입력해 검색해보면 된다. 더보기
  • 변론
    형사소송법 또는 민사소송법에서 기일에 수소법원의 공개법정에서 당사자 쌍방이 구술에 의해 판결의 기초가 될 소송자료를 제출하는 방법으로 소송을 심리하는 절차이다. 더보기

사법부소개

광복과 더불어 우리나라 사법제도는 급속한 발전을 거듭하였습니다. 1948년 7월 17일 대한민국 헌법이 공포되었는데, 헌법은 삼권분립 원칙에 따라 사법권의 독립을 보장하였습니다. 이어 김병로 초대 대법원장이 취임하였고, 1949년 9월 26일 법원조직법이 제정ㆍ공포되었습니다. 헌법과 법원조직법은 법원이 민사소송, 형사소송, 행정소송, 선거소송 등의 법률적 쟁송을 심판하도록 하고, 대법원 이외 고등법원과 지방법원을 두어 3급3심제가 확립되었습니다. 더보기

INFOMATION

여기도 들어갈 텍스트 좀 생각해보자

  • 청사소개

    일제강점기인 1928년 서울 중구 서소문동 37번지 대지 23,958㎡에 연건평 10,329㎡의 건물이 신축되어 경성복심법원 및 경성지방법원으로 사용되어 오다가 1948년 이후부터 대한민국 대법원청사로 사용되어 왔습니다.

  • 갤러리
    • 대법원 청사 봄
    • 대법원 중앙홀
    • 열람실
    • 대법원 청사 겨울
  • 보안검색
    • aaa
    • aaa
    • aaa
    • aaa

보도자료

모든 국민은 언론, 출판의 자유와 집회, 결사의 자유를 가진다.

본 사이트는 상업적 목적이 아닌
개인 포트폴리오 용도로 만들어졌습니다.
홈페이지의 일부 내용과 기타 이미지
등은 그 출처가 따로 있음을 밝힙니다.

[닫기]